해당 기능의 역할은 실행 조건을 걸어 환경을 제어하는 기능
'제어문' 이라고도 하고 '조건문'이라고도 함
- if 함수 : 만약 ~이면 x를 실행해라
수식 if(조건식){ 실행문; }
var myAge = 25; if(myAge >= 20){ document.write("당신은 성인입니다." + "<br>"); }
≫ 예제
// prompt 시험점수 입력, if 사용 70점 이상 합격 출력 var score = Number(prompt("시험 점수를 입력하세요", "50")); if(score>=70){ document.write("합격"+"<br>"); }
- if ~ else 함수 : 만약 ~ 이면 x를 실행하고, 아니면 n을 실행해라
수식 if(조건식){ 실행문1; }else{ 실행문2; }
≫ 예제
//prompt를 이용해서 나이를 입력받고, 나이가 20세 이상이고, 30세 미만일 경우 "통과", 그 외는 "비통과" var yourAge = prompt("나이를 입력해주세요", "0"); if( yourAge >= 20, yourAge < 30 ){ document.write("통과" + "<br>"); }else{ document.write("비통과" + "<br>"); }
- if~ else if 함수 : 만약 ~ 이면 x를 실행하되, 아니면 n을 실행하고, 또 아니면 c를 실행하고,
그것도 아니면 d를 실행해라
수식 if(조건식){ 실행문1; }else if(조건식2){ 실행문2; }else if(조건식3){ 실행문3; }else if(조건식4){ 실행문4; }else{ 실행문5; }
≫ 예제
// prompt 이용, 시험점수 입력 // 학점 90점 이상 A, 80점 이상 B, 70점 이상 C, 60점 이상 D, 60점 미만 F var grade = prompt("시험점수를 입력해주세요", "30"); if( grade >= 90 ){ document.write("A학점"); }else if( grade >= 80 ){ document.write("B학점"); }else if( grade >= 70 ){ document.write("C학점"); }else if( grade >= 60 ){ document.write("D학점"); }else{ document.write("F학점"); }
- switch ~ case 함수 : 변수명이 a인 경우 d를 실행하고, b인 경우 e를 실행하고, c인 경우 f를 실행해라
수식 switch(변수명){ case 값1: 실행문1; break; case 값2: 실행문2; break; case 값3: 실행문3; break; default: 실행문4; break; }
▶ default : prompt나 confirm 실행 시 특정 조건 외의 답에 경고 등의 알림 설정이 필요하거나 할 때
▶ break; 여기서 동작 그만!
≫ 예제
var myArea = prompt("지역을 입력하세요", "서울") switch(myArea){ case "서울": areaNum = "02"; break; case "경기": areaNum = "031"; break; case "부산": areaNum = "051"; break; default: alert("등록되지 않은 지역입니다."); break; } document.write(myArea + "지역번호는 " + areaNum);
개인적 깨달음
(질문, "제시답변") 구조에서 제시답변은 placeholder 역할을 하는데,
작성할 때 입력해주는 게 좋음
이용자가 답변을 어떤 형식으로 해야할 지 알 수 없기 때문
( 주변에 1도 관심 없는 ISTJ는 이렇게 깨달음 )